[해킹 입문자를 위한 TCP/IP 이론과 보안]-1

2023. 5. 9. 01:16CS/네트워크

728x90
반응형
IP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그리고 기본 게이트웨이으 의미

CMD창에 ipconfig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화면이 뜬다.

'이더넷 어댑터 이더넷"은 PC의 LAN카드(NIC)를 의미한다. LAN 카드가 2개 있는 경우 '이더넷 어댑터 로컬 영역 연결 2'와 같은 내용이 추가로 생긴다(혹은 이더넷 어댑터 이더넷 2)

 

이더넷이란 LAN 영역에서 사용하는 통신 기술 중 하나다. LAN 영역에서 사용하는 기술 중 사실상 표준 방식이다.

이더넷 어댑터 = LAN 카드이고, 이더넷은 LAN 영역에서 사용하는 통신 기술을 의미한다. [이해가 어려우면 외우자]

이더넷 어댑터란 이더넷 방식의 LAN 영역에서 사용하는 NIC 장치를 의미한다.

 

IPv4 주소는 192.168.0.13이라고 32bit로 나온다. IP 주소의 범의는 0~255이다.

0.0.0.0 ~ 255.255.255.255번까지 총 32비트로 이루어진 체계다. 

 

IP(Internet Protocol) 주소는 인터넷 공간에서 자기 PC가 사용하는 고유한 식별자를 의미한다. 우선 IP 주소를 인터넷 공간에서 자기 PC를 유일하게 구별하기 위한 식별자로 간주하자. IP주소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주체이기 때문에 출발지 주소이기도 하다. 출발지 IP 주소라고 우선 외우자

 

IP주소의 맨 앞에 숫자는 클래스로 나누어 진다.

구분 IP 주소의 첫 번째 자리 범위
A 클래스 1~126
B 클래스 128~191
C 클래스 192~223

D, E 클래스는 우선 논의에서 벗어나자. (첫 술에 배불를까...)

 

아래 두 내용은 외우자.

8.8.8.8번 / 168.126.63.1 IP주소는 각각 구글과 KT에서 제공하는 DNS 서버이다 
127.0.0.1번은 특별한 주소이기 때문에 클래스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자기가 사용하는 LAN 카드 자신을 의미한다는 것과 루프백 주소라고 부른다는 사실만 기억하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