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모델과 표준 프로토콜
2023. 11. 3. 04:13ㆍCS/네트워크
728x90
반응형
계층화의 개념
사람 사이 대회의 구분
생각, 언어, 물리 계층
- 이렇게 계층으로 구분되며 좋은 점? 특정 계층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계층화 - 컴퓨터 사이에 대화를 계층화 도입 (10메가용을 100메가용 네트워크 카드 바꿔도 나머지 계층은 그대로 사용한다.)
- OSI 표준 모델 : 일곱 개의 계층 (Open System Interconnection)

- TCP/IP : 5개의 계층

Physical
연결하는 포트, 핀의 개수, 모양 전부 정해져 있다.
물리적인 특성 명시
비트의 전기적, 혹은 광학적 표현
토폴로지, 전송모드, 선로 구성, 비트의 동기화, 속도 등 자세한 명시

DATA
장애 지원(Error Support), 비트에 대한 에러검출과 복구
흐름 제어(상대방이 말을 빨리하면 천천히 말하라고 요청하듯이 컴퓨터 사이에도 보내는 속도와 받는 속도를 제어가 필요)
접근 제어(멀티 포인트에서) 여러 장치들이 동일한 링크를 공유 할 때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하는걸 의미
데이터 단위 Frame

Network
핵심 역할 : 라우팅 (송신지에서 수신지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계층)
패킷을 최종 목적지로 전달

Transport
핵심 역할 : 프로세스와 프로세스 간에 통신일 일어난다.
송신지에서 최종목적지까지 전달
연결제어, 종단간 흐름제어 및 에러제어

Application
FTP, SMPT, Telnet(SSH), HTTP(s)

표준 프로토콜
데이터를 주고받는데 이용되는 규칙의 집합을 의미
De jure 표준
의사소통을 가능하도록 임의로 만들어낸 프로토콜
De facto 표준
이미 많이 사용하고 있어 사실살 표준으로 채택된 프로토콜
반응형
'CS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말장치 (0) | 2023.11.11 |
---|---|
네트워크 기본 개념 이해하기 (0) | 2023.11.11 |
네트워크 구조와 종류 (0) | 2023.11.03 |
웹-1.0/2.0/3.0 (0) | 2023.08.17 |
웹 (0) | 2023.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