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ctl 실습

2023. 9. 10. 03:39쿠버네티스/쿠버네티스

728x90
반응형
kubectl --help

kubctl

쿠버네티스에게 원하는 것을 요청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기본 구조

kubectl [command] [TYPE] [NAME] [flags]

command - 자원(object)에 실행할 명령어 

- create, get, delete, edit ..등

 

TYPE

자원의 타입 node, pod, service ..

 

NAME

자원의 이름 

 

flags

부가적 설정 옵션

--help, -o wide 등

kubectl get pod webserver -o wide

1.실습

kubectl create deployment [name] --image=http --replicas=3

#상태정보
kubecte get pod [name] -o wide
kubecte get pod [name] -o yaml
kubecte get pod [name] -o json

컨테이너 안으로 들어가는 명령어

kubectl exec webserver -it -- /bin/bash

kubectl port-forward webserver 8080:80

kubectl edit deployments [name]

spec에 replicas 3에서 5로 변경 후 저장하면

pod 3개에서 5개가 생성 됨.

# 실행 가능한지 확인만 하는 명령어
kubectl run webserver --image=nginx:1.14 --port 80 --dry-run -o yaml

# yaml 파일 생성
kubectl run webserver --image=nginx:1.14 --port 80 --dry-run -o yaml > webserver-pod.yaml

vi webserver-pod.yaml 로 들어가 아래처럼 수정

kubectl delete pod webserver
kubectl delete deployments mainui
kubectl create -f [파일이름]

그라파나/프로메테우스

https://velog.io/@mng_jn/0809%EC%BF%A0%EB%B2%84%EB%84%A4%ED%8B%B0%EC%8A%A4-%EB%AA%A8%EB%8B%88%ED%84%B0%EB%A7%81-%ED%94%84%EB%A1%9C%EB%A9%94%ED%85%8C%EC%9A%B0%EC%8A%A4-%EA%B7%B8%EB%9D%BC%ED%8C%8C%EB%82%98

 

⎈0809[쿠버네티스 모니터링 프로메테우스 , 그라파나]

📌 쿠버네티스 버전 학인프로메테우스가 서버에 접근해서 정보를 가져오는 방식 (pull방식)프로메테우스느 데이터를 수집 그라파나는 그 데이터를 가져다 시각화 시켜주는 것.쿠버네티스 클러

velog.io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