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터 노드
2023. 9. 4. 22:51ㆍ쿠버네티스/쿠버네티스
728x90
반응형
kubectl :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명령을 내리는 역할
바이너리로 배포되기 떄문에 마스터 노드에 있을 필요는 없다. 통상적으로 API 서버와 주로 통신하므로 API 서버가 위치한 마스터 노드에 구성 함.
API 서버 : 클러스터의 중심 역할을 하는 통로
주로 상태 값을 저장하는 etcd와 통신하지만, 그 밖의 요소들 또한 API 서버를 중심에 두고 통신하므로 API 서버의 역할이 매우 중요.
etcd : 구성 요소들의 상태 값이 모두 저장되는 곳. etcd의 정보만 백업돼 있다면 긴급한 장애 상황에서도 쿠버네티스 클러스트는 복구할 수 있다. key-value 저장소이며, 복제해 여러 곳에 저장해 두면 하나의 etcd에서 장애가 나더라도 시스템의 가용성을 확보할 수 있음. 멀티 마스터 노드 형태는 kubespray로 구성
컨트롤러 매니저 : 클러스터의 오브젝트 상태 관리.
스케줄러 : 노드의 상태와 자원, 레이블, 요구 조건 등을 고려해 파드를 어떤 워크 노드에 생성 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할당 함.
반응형
'쿠버네티스 > 쿠버네티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kubespray로 k8s설치 (2) | 2024.11.21 |
---|---|
kubectl 실습 (0) | 2023.09.10 |
컨테이너를 다루는 표준 아키텍처, 쿠버네티스 (0) | 2023.09.04 |
putty와 슈퍼 putty (0) | 2023.09.04 |
베이그런트로 테스트 환경 구축하기 (0) | 2023.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