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let

2024. 12. 12. 12:04쿠버네티스/쿠버네티스

728x90
반응형

https://leehosu.github.io/kubelet

 

kubelet이란?

각 Node에는 ControlPlane과 통신하는 kubelet이 있습니다. kubelet은 각 노드에서 실행되는 기본 Node Agent입니다. 즉, 쿠블릿(kubelet…

leehosu.github.io

작동 방식
쿠버네티스 파드를 관리하기 위해 YAML 파일을 작성합니다.
kubectl 명령어를 통해 해당 명령을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적용합니다.
이때 YAML의 명령이 kube-apiserver로 전송된 후 kubelet으로 전달됩니다.
kubelet은 이 YAML을 통해 전달된 파드를 생성 혹은 변경하고, 이후 이 YAML에 명시된 컨테이너가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1. Kubelet 개요 - 각 노드에서 실행되는 기본 Node Agent

  • 역할: Kubernetes 워커 노드에서의 모든 활동을 주도하는 역할.
    • 클러스터의 일원이 되기 위한 모든 절차를 수행.
    • 마스터 노드와의 유일한 접점으로, 스케줄러의 지시에 따라 컨테이너를 로드하거나 언로드.
    • 정기적으로 노드 및 컨테이너 상태를 보고.

2. Kubelet의 기능

  • 노드 등록: Kubernetes 클러스터에 노드를 등록.
  • 컨테이너 실행:
    • 파드나 컨테이너를 로드하라는 지시를 받으면, 컨테이너 런타임 엔진(예: Docker)에 요청하여 필요한 이미지를 가져오고 인스턴스를 실행.
  • 상태 모니터링:
    • 파드와 그 안의 컨테이너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를 kube API 서버에 보고.

3. Kubelet 설치 방법

  • 수동 설치 필요:
    • kubeadm 도구를 사용해 클러스터를 배포할 때 자동으로 kubelet을 배포하지 않음.
    • 워커 노드에 kubelet을 수동으로 설치해야 함.
    • 설치 방법: 설치 프로그램 다운로드, 압축 해제 후 서비스로 실행.

설정 확인 방법

  • 워커 노드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나열하여 kubelet과 관련된 옵션 확인 가능.

4. 추가 학습 내용 (추후 강의에서 다룰 예정)

  • Kubelet 설정 방법
  • 인증서 생성
  • TLS 부트스트랩(TLS Bootstrap) 설정

5. 주요 참고 사항

  • Kubelet은 Kubernetes 클러스터 내에서 워커 노드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유지하는 핵심 구성 요소.
  • 수동 설치가 필요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고 기능을 통해 클러스터의 상태를 유지함.

Kubelet Worker Node에서 컨테이너 런타임을 이용해서 Pod을 생성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Kubelet 서비스에 문제가 생기면 해당 Worker Node에서는 Pod을 배포하지 못하게 됨.

 

https://www.samsungsds.com/kr/insights/kubernetes-3.html

 

쿠버네티스 알아보기 3편: 쿠버네티스를 이루고 있는 여러 가지 구성 요소 | 인사이트리포트 | 삼

쿠버네티스 구성 요소인 쿠버네티스 컴포넌트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www.samsungsds.com

https://www.redhat.com/ko/topics/containers/kubernetes-architecture

 

쿠버네티스 아키텍처(k8s, Kubernetes architecture) 이해

쿠버네티스(k8s, Kubernetes) 아키텍처(구조)는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및 관리 시스템으로, 컨테이너화된 응용 프로그램의 대규모 배포, 스케일링, 관리에 사용됩니다.

www.redhat.com

 

반응형

'쿠버네티스 > 쿠버네티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버네티스 파드  (0) 2024.12.14
Kube-Proxy  (0) 2024.12.12
Kube-Scheduler  (0) 2024.12.12
Kube Controller Manager  (0) 2024.12.12
Kube-API Server 개요  (1) 2024.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