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 1. 03:31ㆍlearning more/유닉스
● 유닉스와 리눅스 발전사
● 리눅스의 특징
●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의 종류
● 여러 리눅스 배포판
유닉스 | 리눅스 | GNU 프로젝트 | 오픈소스 라이선스 | 리눅스 배포판
리눅스는 유닉스 계열의 운영체제 중 하나
오픈소스 운동의 상징적 사례
UNIX의 특징
NNIX와 리눅스
발전사
최초의 UNIX
Multics
- 시분할 운영체제 (assembly 언어로작성)
Unics → Unix
- 작고 심플한 운영체제로 다시 작성
- C언어로 다시 작성
대표적인 유닉스 시시템
- BSD 계열 (버클리 대학 버전) : FreeBSD, SunOS, GNU/Linux
- System V 계열 (상용 목적): HP-UP(HP), AIX(IBM), Solaris(Oracle)
- 리눅스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Unix_timeline.en.svg
File:Unix timeline.en.svg - Wikimedia Commons
commons.wikimedia.org
리눅스의 등장
리처드 스톨먼은 'GNU(그누)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자유소프트웨어재단(FSF)의 프로젝트로 소프트웨어의 상업화에 반대하고 소스코드의 공유와 자유로운 사용과 배포를 주장하였다.
리누스 토르발스는 리눅스 커널을 작성하여 발표
- 커널은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응용 프로그램과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운영체제의 핵심
- 개발자인 Linus와 UNIX의 이름을 따서 Linux라고 명명
리눅스 개요
리눅스는 인터넷 성장에 큰 영향을 미쳤고, 다양한 컴퓨터 기반 장비의 활용 가치를 높였다. 다수가 참여하는 협력 프로젝트의 성과가 더 우수함을 보여 주는 성공 모델이 되었다.
https://www.linuxfoundation.org/about
About the Linux Foundation
The Linux Foundation provides a neutral, trusted hub for developers to code, manage, and scale open technology projects.
www.linuxfoundation.org
- 최상위 100만 도메인 중 95% 이상이 리눅스 운영체제를 사용
- 스마트폰의 80% 이상이 리눅스 기반의 안드로이드에서 동작
- 세계 500대 슈퍼컴퓨 중에서 98%가 리눅스에서 운영
- NYSE, NASDAQ, 런던과 도쿄의 증권 거래소 등이 리눅스에서 운영
- 대다수의 전자제품이 리눅스를 사용
- 클라우드 활용 대기업의 75% 이상이 주요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리눅스 사용
GNU와 자유소프트웨어
GNU 프로젝트는 UNIX 운영체제 전체를 다시 코딩하여 유닉스와 완벽하게 호환되는 운영체제를 개발하려는 의도로 시작
GNU "GNU is Not Unix" 재귀적 약어로, 유닉스와 호환되지만 다른 운영체제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계층구조로 설계되었고 많은 프로그래머들이 잘 정의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명령어나 유틸리티를 다시 작성하였기 때문에 작업의 분할을 통해 GNU 프로젝트가 가능하였다.
자유소프트웨어란 가격이 무료인 프로그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프로그램의 사용이나 개작의 자유를 의미한다. 저작권을 의미하는 카피라이트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모두에게 자유로운 사용을 허용한다. 소프트웨어의 상업화와 소수 독점을 거부하는 운동 또는 그러한 라이선스를 카피레프트라고 한다. (GPL, General Public License)
GNU/Linux 외에도 GNU C 컴파일러(gcc), 문서 편집기 emacs, X 윈도우의 데스크톱 환경 GNOME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있다. 자유소프트웨어에 관한 사용 규정을 명확히 정의하기 위하여 GNU GPL을 만들었다. 이것은 카피레프트를 실제로 구현한 최초의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다.
GNU란 GNU 프로젝트를 통하여 구현하려고 하는 유닉스와 호환되는 완벽한 소프트웨어 전체를 말한다.
GNU 프로젝트는 GNU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 자체를 의미한다.
The GNU Operating System and the Free Software Movement
GNU is the only operating system developed specifically to give its users freedom. What is GNU, and what freedom is at stake? Escape to Freedom: A video from the FSF What is GNU? GNU is an operating system that is free software—that is, it respects users
www.gnu.org
https://www.gnu.org/gnu/manifesto.html
The GNU Manifesto - GNU Project - Free Software Foundation
The GNU Manifesto The GNU Manifesto (which appears below) was written by Richard Stallman in 1985 to ask for support in developing the GNU operating system. Part of the text was taken from the original announcement of 1983. Through 1987, it was updated in
www.gnu.org
Linux의 특징
- 리눅스는 다중 사용자와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운영체제이다.
- 리눅스는 뛰어난 이식성을 제공한다
- CUI, GUI를 지원한다
- 리눅스 소스가 공개되어 있다
- 리눅스는 여러 종류의 파일 시스템을 지원한다.
- 리눅스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과 우수한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을 제공한다
오픈소스와 라이선스
리눅스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나 애플의 Mac OS와 다르다. 앞의 두 가지는 독점 소프트웨어이다. BSD 버전을 기반으로 하나 소스가 공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소스를 보거나, 수정, 개선 등을 할 수 없다.
상업적 목적의 소프트웨어가 나오면서 소스코드와 상표권을 둘러싼 소송이 제기되었다. 이와 같은 소프트웨어 사용에 관한 상업적 흐름에 반대하고 소프트웨어의 자유로운 사용/복제/수정/배포에 관한 권리를 지키기 위해 GNU 프로젝트와 자유소프트웨어 운동이 등장하게 되었다.
GNU 프로젝트에서는 소프트웨어에 대해 다음과 같은 자유를 보장하고 있다.
- 프로그램을 목적에 상관없이 실행할 수 있는 자유(사용)
- 복제하고 이것을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자유(복제)
- 프로그램을 학습하고 소스코드를 자신의 필요에 맞게 개작할 수 있는 자유(수정)
- 개작된 프로그램을 배포할 수 있는 자유(배포)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는 사용방법/사용범위/의무사항을 명시한 오픈소스 라이선스로 권리를 보호받을 수 있다.
https://www.copyright.or.kr/main.do
한국저작권위원회
www.copyright.or.kr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일정한 대가나 조건을 전제로 사용에 관한 권리를 부여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사용허가권을 라이선스라고 한다.
저작권자는 사용자에게 라이선스를 부여하여 독점 소프트웨어와 마찬가지로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다.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발자와그것의 사용자 간에 소프트웨어의 사용, 수정 및 공유 등에 관한 방법 및 조건을 말한다.
라이선스마다 자유로운 사용, 수정, 배포를 인정한다는 점은 같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공통적 준수사항은 다음과 같다.
- 저작자와 해당 라이선스 문구를 소스코드에 포함시키도록 하는 저작권 관련 문구 유지
- 상표권에 의해 보호받는 제품명의 중복 사용 금지
https://opensource.org/licenses/
Licenses
OSI Approved Licenses Open source licenses are licenses that comply with the Open Source Definition – in brief, they allow software to be freely used, modified, and shared. To be approved by the Op…
opensource.org
가장 많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가 채택하고 있는 라이선스는 GPL이다.
https://changun516.tistory.com/110
[License] 오픈 소스 라이센스(OSS)에 대하여
| 오픈 소스 라이센스(OSS)에 대하여 알아보자 What is opens source license? 1. 들어가기 앞서 참고 : 2021.04.30 - [프로그래밍 - 정의/정보] - [정보] IPR(지식재산권), 저작권, 특허, 상표권에 관하여 [정보] IPR
changun516.tistory.com
https://www.kc-ml2.com/posts/blog_OSSLicense#1-bsd%ED%98%95
KC-ML2
0. 개요 ML2는 협업과 공유를 통해 함께 성장하는 머신러닝 커뮤니티를 만들고자 다양한 오픈소스 프로젝트들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오픈소스 정신이 확산되길 바라며 '한국저작권위원회의 오픈
www.kc-ml2.com
리눅스 배포판
리눅스는 엄밀히 말하면 커널을 의미한다. 커널은 컴퓨터 자원을 제어,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편의를 위해 각종 응용 프로그램과 설치 프로그램을 포함한 것을 리눅스 배포판이라고 부른다. 보통 사람들이 리눅스라고 말할 때는 대개 배포판 중 한 가지를 의미한다.
배포판은 크게 상용/비상용으로 나뉘어진다. 비상용은 주로 개발자, 사용자로 이루어진 오픈소스 커뮤니티에 의해 지원된다. 일부 배포판은 기업의 투자와 지원을 받아 주로 상업용 버전의 개발과 시허을 위해 사용된다.
데비안 리눅스
비영리 조직으로 설립되어 있으며 자유 운영체제를 만들어 가는 사람들의 독자적인 모임으로 전 세계적으로 많은 자원봉사 개발자가 참여하고 있다. Debian GNU/Linux 혹은 '데비안'이라고 부른다. GNU 정신에 가장 충실한 배포판으로 FSF GNU 프로젝트의 공식적인 후원을 받는 유일한 배포판이다. 데비안을 설치하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리며, 패키지 인스톨러는 apt-get을 사용한다.
redhat
배포판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리눅스로서 로고로 사용되는 빨간 모자가 유명하다. 상용 리눅스 배포판 업체인 레드햇 사가 제공하며 가장 큰 특징은 배포판 가운데 최초로 사용된 RPM이라는 패키지 관리 도구에 있다. RPM은 패키지 파일의 형식이자 패키지 설치 또는 업데이트를 위한 관리 도구로 바이너리, 설정 파일, 라이브러리, 도큐먼트 등을 일괄 관리할 수 있으며 RPM 데이터베이스에 질의하여 패키지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CentOS
레드햇 계열이며 현재 지원 중단되어 Rocky로 다시 배포되고 있다.
Suse
독일에서 만든 배포판으로 유럽에서 가장 인기를 누리고 있으며, 가장 오래된 사용 배포판으로 알려져 있다. YaST2라는 설치와 설정 도구를 제공하여 초보자도 쉽게 리눅스를 업그레이드하고 패키지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슬랙웨어
배포판 가운데 가장 먼저 대중화되었고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배포판으로 다른 리눅스 배포판의 기초가 되었다. 패키지 관리 기능이 취약하여 인기가 떨어졌다. 유닉스 학습에 리눅스를 사용하고 싶어 하는 사람에게 적합하다.
우분투
데비안 리눅스에 기초한 배포판으로 고유한 데스크톱 환경인 Unity를 사용하는 리눅스 패포판이다. 영국에 기반을 둔 회사인 Canonical의 지원을 받고 있으며 6개월마다 새로운 버전이 발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에서 '공동체 의식에 바탕을 둔 인간애'를 의미하는데 누구나 어렵지 않게 사용하자는 의도를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개인용 데스크톱, 노트북에서 가장 인기가 있는 리눅스 배포판으로 알려져 있다.
https://www.samsungsds.com/kr/insights/linux_distribution.html
리눅스 배포본을 비교해 보자 | 인사이트리포트 | 삼성SDS
Linux 배포본이 몇 개나 있는지 정확히 아시는 분이 계실까요? Red Hat, Ubuntu, CentOS, Oracle Linux 정도가 아마 익숙한 배포본 이름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하지만, 어쩌면 지금 이 순간에도 지구 반대편
www.samsungsds.com
리눅스 (linux )의 종류및 국내 에서 많이 사용하는 배포판은 ? - 미엘린클라우드 - MyelinCloud
리눅스 탄생하게 된 계기 Linux는 1991년 핀란드의 리누스 토발즈(Linus Torvalds)가 개발한 운영체제 커널입니다. 당시에는 개인용 컴퓨터가 점점 보급되면서 운영체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특히
myelincloud.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