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도 디지털이 승리하는 이유

2023. 12. 30. 04:57b정리/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1%의 프로그래밍 작동원리

728x90
반응형

디지털과 아날로그를 비교하면, 무한정 잘게 나눌 수 있는 아날로그가 우월해 보입니다. 애매한 영역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아날로그를 무한정 잘게 나누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가능하다고해도 기기에서 발생하는 오차보다 작은 수로 세분화하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10볼트 기준 전압과의 차이를 조사하는 기기가 있습니다. 기준 전압의 발생 회로는 9.9볼트~10.1볼트의 범위에서 정확한 전압을 제공한다고 가정해봅시다. 그떄 혹시 12볼트 전압과 비교하면 어떻게 될까요

 

12볼트는 10볼트와의 차이가 2볼트이기 때문에 2볼트의 차이가 있다고 보고 하게 됩니다. 

 

입력은 엄밀하게 12.0볼트라고 알고 있다고 가정합니다. 기준 전압은 9.9볼트~10.1볼트의 범위에 있다는 것밖에 알 수 없습니다. 차이는 1.9볼트부터 2.1볼트가 될 가능성이 있고, 그렇게 되면 그 범위의 어느 전압을 보고해야 할지 알 수 없습니다.

 

오차를 최소화하려면 고품질의 부품을 사용해야 하고, 높은 안전성을 가진 전원을 준비해야 하며, 기온과 온도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공조 장치가 완비된 방에 들어가야 합니다. 

 

아날로그는 판독을 무한히 세분화하여 잘게 나누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것이 의미 있는 정보라고 할 수 있는지와는 다른 문제인 것입니다. 

 

디지털은 오차에 관용적이라, 조건이 변해도 일정한 결과를 가집니다. 남극 기지, 적도, 주머니 속 등 어떤 환경에서도 동일하게 동작하는 기기를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