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 시스템 탐색
2023. 10. 27. 10:11ㆍ리눅스/명령어들..
728x90
반응형
ls
파일과 서브 디렉터리 목록을 나열하는 명령
ls .
ls -l
짧은 옵션 | 긴 옵션 | 설명 |
-a | --all | 모든 파일을 리스트한다. 점으로 시작하는 숨김 파일도 보여준다. |
-d | --directory | 디렉터리 자체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
-F | --classify | 오른쪽에 파일의 종류를 알려 주는 문자를 붙여 보여준다. |
-h | --human-readable | 긴 포맷의 출력에서 파일의 크기를 바이트가 아닌 human-readable 포맷으로 출력한다. |
-i | --inode | 왼쪽에 inode 번호를 보여준다. |
-l | --format=long | 긴 포맷으로 결과를 보여 준다. |
-r | --reverse | 역순으로 결과를 보여 분다. 기본적으로 ls 명령은 알파벳 순서로 결과를 보여 준다. |
-R | --recursive | 재귀적으로 수행되는데, 서브디렉터리의 내용도 나열 한다. |
-S | --sort=size | 파일의 크기 순서로 결과를 보여 준다. |
-t | --sort=time | 최종 수정시간 순서로 보여 준다. |
필드 | 설명 |
- | |
rw-r--r-- | 파일의 접근권한을 표시한다. 첫 번째 rwx는 소유자, 두 번째 rwx는 그룹의 구성원, 세 번째 rwx는 기타 모두의 접근권한을 표시한다. r 읽기, w 쓰기, x 실행권한, - 권한이 없다는 의미이다. |
1 | 하드 링크의 수이다. 같은 파일을 다른 이름으로 다룰 수 있는 하드링크가 있다면 2 이상의 값이 나올 수 있다. |
honghong | 파일 소유자의 계정 |
honghong | 파일을 소유한 그룹의 계정 |
99494 | 바이트 단위의 파일 크기 |
11월 2 09:30 | 파일의 최종 수정된 날짜와 시간 |
test.txt | 파일 또는 디렉터리의 이름 |
chmod
chmod u=rwx, g=rw, o=x file2
chmod u+x file2
chmod 730 file3
umask
파일이나 디렉터리 생성 시 초기 접근권한을 설정할 때 사용
ex) file : 666 - 002 = 664, directory : 777 - 002 = 775
umask 값은 계정마다 설정할 수 있으며, root의 umask는 /etc/profile 에서 설정할 수 있고,
각 사용자는 .profile, .cshrc, .bashrc, .login과 같은 사용자 profile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현재 로그인한 계정에서 일회성으로 umask를 설정하려면 "# umask 8진수3자리" 값을 입력하면 됩니다.
(로그아웃 시 초기화됩니다.)
ln

inode 값이 hardlink는 같은걸 확인 가능하면 심볼릭은 다른걸 확인할 수 있다.
참고사이트:
반응형
'리눅스 > 명령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nd / locate (0) | 2023.11.14 |
---|---|
비밀번호 변경 (0) | 2023.11.01 |
전원 끄기, 재 부팅 (0) | 2023.10.26 |
일반 사용자를 위한 명령어-2 (0) | 2023.09.03 |
일반 사용자를 위한 명령어-1 (1) | 2023.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