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커의 동작 원리

2023. 10. 22. 19:29쿠버네티스/Docker

728x90
반응형

일반적으로 도커는 물리 서버가 있고, 이 물리 서버에서 동작하는 리눅스 운영체제가 있으며, 이 운영체제 위에 도커 엔진이 작동됩니다. 일반 서버라면 운영체제 위에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직접 올라가겠지만 도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운영체제 위에 도커 엔진이 동작하고 그 위에서 컨테이너가 동작합니다.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는 컨테이너 안에 위치 합니다.

컨테이너 안에는 운영체제 '비슷한 것'이 들어 있다.

최소한의 컨테이너안에는 리눅스 운영체제 비슷한 무언가가 딸려 있습니다. 그렇다면 그 비슷한 무언가는 커널에 명령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리눅스 운영체제의 일부분입니다.

이미지와 컨테이너

이미지는 금형과 같습니다. 이미지는 컨테이너를 만드는 데 사용합니다. 우리가 실제 사용하는 것은 컨테이너이며, 이미지를 그대로 사용하는 일은 없습니다. 이미지는 금형과 같은 역할이라 하나만 있으면 똑같은 것을 여러 개 만들 수 있습니다. 동일한 컨테이너를 여러 개 배치하기 편리합니다.

도커의 장점

이동성, 생성, 보안, 여러 개 키워드로 나타 낼 수 있으며, "환경을 격리할 수 있다"라는 장점에서 많은 장점이 파생됩니다.

출처 : 그림과 실습으로 배우는 도커 & 쿠버네티스

반응형

'쿠버네티스 >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커 컨테이너(이미지) 삭제/강제삭제/모두 삭제  (0) 2023.10.22
컨테이너의 기본적인 사용 방법  (1) 2023.10.22
도커 엔진  (0) 2023.10.22
도커  (0) 2023.09.14
무엇을 컨테이너로 만드나  (0) 2023.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