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사회

2023. 10. 22. 11:05learning more/컴퓨터의이해

728x90
반응형

정보화사회(Information society)

: 지금부터 정보화된다 그 때문에 정보통신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의미가 포함, 과거용어

 

정보사회

: 이미 정보화는 상당한 정도로 진행되고 있으므로 해야 할 일은 정보통신 인프라 정비라는 의미 포함 저자: 오리가사 가즈후미 교수, 정치 경제학자(2004)

 

고도정보사회

(1) Stand alone형에서 멀티 네트워크형으로 전환

(2) 광섬유에 의한 전국 네트워크(디지털 통신망)의 완전한 부설과 이용

(3) 가정생활에서의 완전한 컴퓨터화 실현

(4) 데이터베이스가 사회의 지적 자원으로서 활용되는 비중의 증가

컴퓨터, 반도체기술, 통신기술, 인터넷, 멀티미디어, 광통신 네트워크에 의하여 산업과 사회의 각 분야를 크게 변화시키는 정보화 혁명을 가져왔으며 이러한 급격한 기술의 발전은 사회의 각 분야를 크게 변화시키며 정보화사회(Informarion society)라는 용어를 탄생시켰다.
데이터란 정보로 추출되어지기 전의 가공되지 않은 물질이며, 정보는 데이터가 어떤 매개체에 의해 집대성되고 의미 있는 것으로 처리․가공된 것이다.
멀티미디어란 컴퓨터를 기반으로 문자, 오디오, 비디오, 그림, 애니메이션 등을 종합적으로 입출력하며 처리하고 저장할 수 있는 매체이며 향후 매체는 시공간에 제한을 받는 단방향성의 매체에서 벗어나 인터넷을 기반으로 양방향 통신과 주문형 (on-demand) 및 대화형 (interactive) 매체가 보편화되었다.
디지털 동화상 기술, 가상쇼핑 시스템, 대화형 TV 기술 등의 소프트웨어기술과 처리의 고속화, 가격의 저렴화, 크기의 최소화를 지향하는 하드웨어기술들이 더욱 발전할 것이다.
초고속 전송이 가능한 광섬유 네트워크기술과 무선랜(wireless LAN) 기술 등에 의한 유비쿼터스(ubiquitous) 시대는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 사물인터넷 등으로 더욱 활성화되었다.
컴퓨터시스템의 하드웨어는 물리적인 요소로 일종의 기계적인 장치를 말하며, 소프트웨어는 논리적인 요소로 일종의 프로그램의 집합을 말한다.
컴퓨터시스템의 세 가지 주요 구성장치는 입력장치, 처리장치 그리고 출력장치이다. 여기서 처리장치는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로 나누어지고 중앙처리장치는 다시 제어장치와 연산장치로 구분된다.
소프트웨어는 사람이 컴퓨터에게 작업을 지시하거나 하드웨어와 이용자 사이에서 이용자가 하드웨어를 의식하지 않고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는 일종의 프로그램들의 집합이다.
컴퓨터시스템의 세 가지 기본기능은 데이터의 가감승제를 위한 산술연산, 두 수의 크기를 비교하는 논리연산, 그리고 데이터를 받아들이거나 결과를 출력하는 입출력 동작이다.
프로그램은 주기억장치에 저장된 일련의 명령어들로 컴퓨터시스템에서 일어나야 할 동작들을 규정한 것이다.
컴퓨터는 크기, 성능, 가격, 사용자 수를 기준으로 개인용 컴퓨터, 서버시스템, 메인프레임, 전용컴퓨터, 슈퍼 컴퓨터 등으로 분류된다.
운영체제는 데스크톱 PC나 노트북 PC, 슬레이트 PC는 MS-DOS와 Windows 시리즈를 거쳐 2015년 Windows 10, 2021년 Windows 11이 출시되었다. 또한 PDA 운영체제로는 팜(Palm) OS, Windows CE 등이 있으며, 스마트폰용 운영체제로는 대표적으로 iOS, 안드로이드 등이 있다.
1990년대 초반 이후 펜티엄 프로세서나 알파 프로세서 등과 같은 고성능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장착한 다양한 종류의 서버시스템들이 출시되어 많은 영역에서 메인프레임이나 슈퍼컴퓨터의 기능을 대신하고 있다.

유비쿼터스 : 언제, 어디서나, 누구라도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통해 손쉽고,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한다.

개인용 컴퓨터 : 1980년대 초 IBM-PC와 운영체제인 MS-DOS 보급으로 급속히 발전하였으며, 데스크톱PC, 노트북PC, 넷북, PDA 태블릿 PC, 슬레이트PC 등이 있다.

서버시스템 :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서버와 클라이언트 분산처리환경을 제공해 주고 있는데, 사용하는 목적이나 기능에 따라 웹 서버, 네트워크 서버, 메일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VOD 서버 등 다양한 종류의 이름을 갖고 있다.

메인프레임 : PC나 워크스테이션과 같은 단일 사용자 중심의 컴퓨터와는 달리 다중 사용자 환경을 지향하도록 설계되었다. 오늘날 대부분의 메인프레임은 수많은 연산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중의 프로세서들을 갖고 있어 클라이언트/서버 네트워크 환경에서 대용량의 데이터 처리나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서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슈퍼컴퓨터 : 대용량의 과학계산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컴퓨터로 특별한 장소나 환경에 설치되어 유지되며, 개인용 컴퓨터의 약 5만 배 이상의 빠른 처리속도를 갖고 있으나, 가격이 대단히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슈퍼컴퓨터는 범용컴퓨터에 비해 연산속도가 매우 빠르고 우주개발이나 원자력 계산, 국방과 무기 분야, 일기예보, 과학적 연구 등을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설치장소도 몇몇의 큰 대학이나 연구소와 국가기관 등에 국한되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