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시스템의 개요
2023. 10. 22. 09:35ㆍlearning more/컴퓨터 구조
728x90
반응형
컴퓨터
전자식 데이터 처리 시스템
컴퓨터 시스템
시스템 : 그 시스템에 부여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구성요소들의 집합
컴퓨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 시스템 측면에서 컴퓨터는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 구성요소는 각각 무슨 기능을 갖는가
> 입려과 출력은 무엇인가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요소
[운영체제] 01. 컴퓨터 시스템의 소개
01. 컴퓨터 하드웨어의 구성 컴퓨터 시스템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물리적인 기계장치인 하드웨어와 어떤 작업을 지시하는 명령어로 작성한 프로그램인 소프트웨어로 구성된다. 운영체제는 컴퓨
likevvs.tistory.com
세대별 발전과정(하드웨어/소프트웨어 발전)
디지털 논리회로
컴퓨터를 구성하는 기본 회로
2진 디지털 논리를 논리 게이트로 구현한 것
집적회로(IC: Integrated Circuits)로 구성
저장 유무에 따른 분류
- 조합논리회로 : 저장 요소가 없음(예: 가산기, 디코더 등)
- 순서논리회로 : 저장요소가 있음(예: 레지스터, 카운터 등)
논리 게이트
디지털 논리회로를 구현하는 데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요소
디지털 2진 정보만 다루는 소자
2진 논리연산을 수행하는 데 사용
※ 기본적인 논리연산
- AND 연산 : 점(·)으로 표시, 생략 가능
- OR 연산 : 덧셈 기호(+)로 표시
- NOT 연산 : 변수 위에 줄(-)을 그어 표시
기본 논리 게이트
- 기본적인 논리연산(AND, OR, NOT 연산)을 수행하는 논리 게이트
- AND 게이트, OR 게이트, NOT 게이트
기타 논리 게이트
- NAND 게이트, NOR 게이트, XOR 게이트, XNOR 게이트
불대수(Boolean algebra)
0 또는 1의 값을 갖는 논리변수와 논리연산을 다루 는 대수
(1) 불함수의 표현
- 논리변수의 상호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불변수, 불연산기호, 괄호 및 등호 등으로 나타내는 대수적 표현
불함수와 논리도
불함수와 진리표
※ 불함수와 진리표와의 관계
- 부울함수에 대한 진리표는 하나이다.
- 그러나 동일 진리표를 만족하는 부울함수는 여러 개가 될 수 있다.
- 따라서 동일 진리표에 대한 논리회로도는 여러 개가 될 수 있다.
※ 불함수의 간소화 필요성
※ 불함수의 간소화 방법 대수적인 방법
- : 불대수의 기본공식을 이용하여 가장 간단한 형태의 함수를 구함 도표를 이용한 방법
- : 카르노도표(Karnaugh map)를 이용 테이블을 이용한 방법
- : 퀸-맥클러스키(Quine-Mcluskey) 방법
불함수의 간소화 (최소항 -1 / 최대항 -0)
불함수를 최소항으로 나타낼 경우 각각의 최소항들은 논리합(OR)결합으로 표현되고, 최대항으로 나타낼 경우 각각의 최대항들은 논리곱(AND)결합으로 표현
(예) 세 입력변수에 대한 최소항과 최대항
예 : 다음의 진리표를 부울함수로 표현
카르노도표를 이용한 간소화
불함수의 간소화 이점
- 카르노 도표를 이용하여 불함수를 간소화하는 방법은 불함수를 시각적인 방법으로 간소화하기 때문에 대수적인 방법으로 간소화하는 방법보다 효과적이다.
- 가장 간소화된 불함수는 논리회로의 게이트 수와 게이트의 입력 수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디지털 논리회로를 설계할 때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사용된다.
반응형
'learning more > 컴퓨터 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수 간의 변환 (1) | 2023.11.28 |
---|---|
컴퓨터구조의 개요 (0) | 2023.11.28 |
처리 장치 (1) | 2023.11.20 |
명령어 형식 2 (0) | 2023.11.04 |
조합논리(저장x)/순서논리(저장o) (0) | 2023.10.22 |